크리스마스의 풍습
크리스마스 트리는 대개 전나무 , 소나무 같은 상록침엽수를 전구 , 솜 , 리본 등으로 장식해서 만든다
크리스마스 트리는 고대 이교도 유럽인들의 관습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이교도 유럽인들은 나무를 숭배했는데 그들은 기독교로 개종한 후에도
크리스마스를 전후해 악령을 쫓아내기위해
집 출입구나 집안에 나무를 들여놓았다고 한다
크리스마스 카드와 선물
크리스마스 카드는 1843년 영국의 예술 후원자이자 교육자였던 헨리콜이 화가 존 호슬리에게
의뢰하여 제작한 1000장의 카드가 최초로 알려진다
19세기 후반 세계 각국의 우편 제도가 발달하면서 크리스마스를 전후로 카드를 주고 받는 풍습이
널리 유행하게 되었다
선물을 주고받는 풍습은 로마시대 태양신 축제인 사투르날리아 기간에 사람들이 양초나 인형을
선물로 교환한 데서 전승되었다
한국의 개신교회에서는 크리스마스 전야에 교인들이 모여 밤새 연극을 하거나 오락을 즐기며
선물을 교환하는 행사를 열고 , 크리스마스 새벽에는 "새벽송 " 이라 하여 교인들의 집을
돌아다니며 집 앞에서 캐럴을 부르는 풍습이 있었다
산타클로스
산타클로스는 3_~ 4 세기경 소아시아의 도시 미라의 주교였던 니콜라우스라는
실존 인물을 모델로 가공되었다
그는 가난하고 불행한 이들을 돕고 자선을 베풀었다고 전해지는데 , 사후 가톨릭교회가 어린이
선원 , 미혼 처녀 , 상인 , 전당포업자 등의 수호성인으로 정하고 12월 6일을 그의 축일로 삼았다
그의 전설은 장난꾸러기 아이를 처벌하고 착한 아이에게 선물을 준다는 마술사에 대한
북유럽 민담과 결합 , 성 니콜라우스의 날은 축일 전야에 어린이들의 베개밑, 신발 , 접시등에
작은 선물을 주는 풍습이 생겨났다
아메리카 신대룩으로 이주한 네덜란드인들이 가톨릭의 관습을 이어
'산테클라스'라고 불렀고 이것이 현재의 영어식 발음인 산타클로스로 굳어졌다
오늘날 빨간옷을 입은 통통한 몸매의 산타클로스는 1931년 미국의 음료회사인
코카콜라 광고를 통해 대중화됐다
코카콜라는 겨울철에 판매량이 줄자 회사 로고 색깔을 상징하는 빨간색옷을 입고
콜라의 거품처럼 풍성한 수염을 기른
친근한 이미지의 산타클로스를 만들어 마케팅에 적극 활용했다
산타클로스와 함께 등장하는 빨간 코 순록 ' 루돌프'도 미국에서 상업적으로 만들어진 캐릭터이다
1939년 미국 시키고 ' 몽고메리워드' 라는 백화점의 카피라이터가 고안해 백화점 광고에 활용했다
크리스마스에 대한 성경적 견해
역사적 근거만 보더라도 크리스마스는 예수님 탄생일이 아니요 이교에서 유래한 풍습이다
아무리 오랜 세월동안 수많은 교회에서 행하던 관습이라 해도 태양신의 탄생일에서 비롯된
이날을 기념하는것은
비성경적이며 하나님의 뜻에 위배된다
성경을 보면 하나님은 다른 신들을 섬기는 자들의 행위를 본받지 말라고 경고하셨으며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율례와 규례를 무시하고 이방인의 규례대로 행했을때 그들을 징벌하셨다
신명기 12장 30절
너는 스스로 삼가서 네 앞에서 멸망한 그들의 자취를 밟아 올무에 들지말라
또 그들의 신을 탐구하여 이르기를 이 민족들을 그 신들을 어떻게 위하였는고
나도 그와 같이 하겠다 하지말라
에스겔 11장 8절~12절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너희가 칼을 두려워하니 내가 칼로 너희에게 임하게 하고
너희를 그 성읍 가운데서 끌어내어 타국인의 손에 붙여 너희에게 벌을 내리리니
너희가 칼에 엎드러질것이라
내가 이스라엘 변경에서 너희를 국문하리니 너희가 나를 여호와인줄 알리라
이성읍은 너희 가마가 되지 아니라고 너희는 그 가운데 고기가 되지 아니할지라
내거 너희를 이스라엘 변경에서 국문하리니
너희가 나를 여호와인줄 알리라 너희가 내 율례를 행치아니하며 규례를 지키지 아니라고
너희 사면에 있는 이방인의 규례대로 행하였느니라 하셨다 하라